어플리케이션보안

네트워크·보안/정보보안기사
2021. 5. 18.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XSS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XSS 웹어플리케이션에서 일어나는 취약점으로 관리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공격 XSS 공격 유형 공격 유형 개요 설명 Persistent(Srored) XSS 지속형, 저장형 - 게시판 등의 DB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곳에 스크립트 삽입 - 스크립트가 실행되게하여 클라이언트 단에서 공격자에게 쿠키 전송 Reflected XSS 반사형 -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값을 서버에서 되돌려 주는 곳에 스크립트 삽입 - 공격자가 악의적인 스크립트와 함께 URL을 사용자에게 누르도록 유도 - GET방식 검색기능 등에 취약점 DOM based XSS Document Object Model -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포함된 URL을 사용자가 요..

네트워크·보안/정보보안기사
2021. 5. 18.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SQL Injection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SQL Injection 악의적인 사용자가 보안상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임의의 SQL 문을 주입하고 실행되게 하여 데이터베이스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조작하는 행위 공격 종류 및 방법 종류 개요 공격 방식 Form SQL Injection HTML Form 기반 이용 -쿼리문에 사용되는 특수문자 넣어서 에러 발생 여부 확인 Error based SQL Injection 논리에러를 이용 - 에러값을 넣어 점진적으로 DB정보 획득 - 입력값에 Query 관련 특수문자 삽입 - 에러 발생시 취약점 가짐 Union based SQL Injection Union 명령어 이용 - order by를 통해 컬럼갯수 파악 - union select 쿼리를 이용하여 다른 쿼리..

네트워크·보안/정보보안기사
2021. 5. 18.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DHCP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DHCP IP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율적 사용 가능, IP자동 설정을 통한 IP충돌 방지 DHCP을 이용하여 IP 할당 과정 순서 방향 설명 DHCP Discover 단말 -> DHCP 서버 DHCP server를 찾기 위해 자신의 MAC주소 담아 브로드캐스트 DHCP Offer DHCP 서버 -> 단말 DHCP server가 응답하고, IP주소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 전달 DHCP Request 단말 -> DHCP 서버 받은 DHCP Offer 중 해당 IP를 사용한다고 해당 Server에 요청 DHCP Ack DHCP 서버 -> 단말 - DHCP server는 해당 MAC과 IP주소를 테이블에 저장 - DHCP server는 단말에게 네트워크 정보 전..

네트워크·보안/정보보안기사
2021. 5. 17.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SNMP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SNMP IP 기반 네트워크상의 각 호스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여러 관리 정보를 자동 수집 또는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구성요소 종류 설명 port Manager agent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 162/udp Agent - Agent가 설치된 시스템의 정보나 네트워크 정보 등을 수집하여 MIB 형태로 보관 - Manager에게 전달 역활 161/udp Manager 와 Agent 간에 통신을 위해 최소 3가지 일치 필요 종류 설명 SNMP version snmp 버전 일치 community string 상호간에 설정한 일종의 패스워드 PDU(Protocol Data Unit) 통신을 하기위한 메시지 유형 PDU 타입 종류 설명 Get Request 관리시스템이 에이..

네트워크·보안/정보보안기사
2021. 5. 17.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FTP
[정보보안기사] 03.어플리케이션 보안 - FTP TCP/IP기반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두 개의 세션이 생성 제어신호 21번 포트, 데이터전송 20번 포트 FTP 동작 모드 종류 데이터 전송용 포트 제어 신호용 포트 설명 Active 모드 20번 21번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 접속(제어신호)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20번 포트 접속(데이터전송) Passive 모드 서버에서 지정 21번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 접속(제어신호)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임의의 포트로 접속(데이터전송) FTP 공격 유형 종류 공격방식 대응방법 FTP Bounce 공격 PORT 명령 조작하여 공격대상의 네트워크 및 포트스캔, Fake mail&데이터 전송 1. 서버 최신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