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보안

네트워크·보안
2020. 4. 11.
네트워크 보안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 액세스 – 사용자 인증(주로 PIN 또는 로그인 사용), 사용자 역할을 바탕으로 인증 및 권한 부여, 데이터 변경 사항 로깅 및 사용자 네트워크 활동 기록을 위해 사용자를 인증, 권한 부여 및 어카운팅(AAA)하는 시스템이 데이터 액세스를 제어합니다. 데이터 가용성 – 데이터는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제공됩니다(요청 시 사용 가능).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밀성 – 데이터는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없으며,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유출되어서도 안 됩니다. 데이터 암호화는 데이터 전송을 보호하며 제3자의 불법 액세스를 방지합니다. 데이터 무결성 – 권한을 부여받지 않고는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권한이 있는..

네트워크·보안
2020. 4. 10.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확인 ls : 파일과 디렉토리 모든 정보 확인 cd : 해당 디렉토리 이동 mkdir : 새 디렉토리 만듦 rmdir : 빈 디렉토리 삭제 df : 파일 시스템의 필수 정보 표시 ps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kill : 프로세스를 중지하는 방법 shutdown : 시스템 종료 cp : 복사 mv : 이동 등이 있습니다.

네트워크·보안
2020. 4. 9.
Cisco 스위치 명령어 및 기본 세팅
라우터 명령어 및 기본 세팅 [권한변경] Router>enable Router# [호스트 이름변경] Switch_1#conf t Switch_1(config)#hostname SW1 [설정 모드(configuration mode)] Switch#conf t Switch(config)# [인터페이스 모드(interface mode)] Switch# conf t Switch(config)# interface FastEthenet 0/0 Switch(config-if)# [스위치 장비 버전 확인 명령어] Switch#show version [스위치 장비 메모리 확인 명령어] Switch#show memory [스위치 장비 전체 컨피그 확인 명령어] Switch#show running-config [ARP 테이..

네트워크·보안
2020. 4. 8.
개인정보의 개념
개인정보의 개념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 개인정보 해당여부 판단 기준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개인정보의 개념은 다음과 같으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인정보가 아님 개인정보는 ⅰ)살아 있는 ⅱ)개인에 관한 ⅲ)정보로서 ⅳ)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이며,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포함 ⅰ) (살아있는) 자에 관한 정보이어야 하므로 사망한 자, 자연인이 아닌 법인, 단체 또는 사물 등에 관한 정보는 개인정보에 해당하지 않음 ⅱ..

네트워크·보안
2020. 4. 8.
개인정보보호책임자 CPO는 회사의 어느 사람이 해야하나?
개인정보보호책임자 CPO는 회사의 어느 사람이 해야하나? Q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CPO는 회사의 어느 사람이 해야하나? A : 법령은 사업주 또는 대표자, 임원(임원이 없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처리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장) 중에서 개인정보 보호책임자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사업자는 반드시 이 요건을 충족하는 자를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로 지정해야 한다. 또한 사업자는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성명·부서의 명칭, 전화번호 등 연락처를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명시하고 정보주체가 언제든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해야 하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가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 사항을 지체 없이 공지해야한다. Q : 소규모의 개인사업자도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가 필요한가? A : 상시 종업원이 5명 미만”인 소규모 사업자..

네트워크·보안
2020. 4. 7.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개념 및 설명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개념 및 설명 네트워크 보안팀으로써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위치 장비는 cisco 장비를 많이 사용합니다. 우선적으로 스위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간단한 질의응답으로 차근차근 풀어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문나는 점에 대해서 꼬리 물기식으로 알아나가는 거죠. Q : Switch(스위치)가 뭐예요? A : 네트워크 장비 Q : Switching(스위칭) 이란? A : Data를 목적지 까지 전달하는 방법 Q : L2 Switch? A : L2 스위치는 허브에서 한 단계 진화한 것으로 :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워져있음. Q :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A : 허브는 한 번에 한 노드만이 통신 / 스위치 여러개의 노드에..

네트워크·보안
2020. 4. 6.
인터넷 속도 단위[Mbps,Kbps,KB/s,cps]
인터넷 속도 단위[Mbps,Kbps,KB/s,cps] 1 Byte(바이트) = 8 bit(비트) 1 Mb = 1024 Kb 1 Charactor = 1 Byte 1 Kb = 1024 Byte 아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의 설명 Mbps = Mega Bit Per Second (초당 1메가 비트를 전송) Kbps = Kilo Bit Per Second (초당 1킬로 비트를 전송) MB/s = Mega Byte Per Second (초당 1메가 바이트를 전송) KB/s = Kilo Byte Per Second (초당 1킬로 바이트를 전송) bps = Bit Per Second (초당 1비트를 전송) cps = Charactor Per Second (초당 1캐릭터(1바이트)를 전송) 보통 집에서 쓰는 인터넷 ..

네트워크·보안
2020. 4. 6.
OSI 7 Layer : 물리계층 개념
[네트워크 기초] OSI 7 Layer : Layer 1 개념 네트워크 종사자 중 흔히들 몸쓰는 일을 할때 Layer 1 일한다고 합니다. Layer 1은 물리적인 일을 주로 합니다. 케이블을 만들거나, 케이블을 연결할때 바닥을 뜯고 천장에 올리고 합니다.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지만, 사람들이 등한시 하기도합니다. 물리계층이 없다면 네트워크도 존재할 수 없는데 말입니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함 : 네트워크상의 물리적인 연결과 유지 종료를 담당 Q : Layer 1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건? A : 사용목적에 따른 케이블 선택, 케이블 역할 정의, 사용목적에 따른 장비 선택, 장비 역할 정의 Q : Layer 1 장비는? A : 더미..

네트워크·보안
2020. 4. 5.
네트워크
Network. 어원은 그물을 뜻하는 net과 work의 합성어. 그물을 짜는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에서 임의의 연결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그 범위가 확장된 단어. Networking. 네트워킹 = 서로 통신(communication) Protocol. 서로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서로가 반드시 지켜야하는 것. 통신하는 목적. - 이메일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지원 - 컴퓨터 간의 파일 공유 - 인터넷을 통한 정보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