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네트워크·보안
2020. 4. 20.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장비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장비 방화벽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 사전에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서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능 수행하는 장비 정해놓은 보안 규칙 ACL(Access Control List) 접근 제어 목록을 설정해두어서 허용 및 차단 정책 적용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모든 접근 시도를 허용한다면 내부의 서버 및 PC등에 접근이 가능하고, FTP서비스 및 SSH, Telnet등으로 접속이 가능하여 내부 데이터 탈취 및 유출이 가능 웹컨턴츠 필터링, IDS, 메일, 바이러스 등의 추가 옵션 기능이 방화벽에도 존재하지만, 방화벽 존재 자체는 ACL이 주목적

네트워크·보안
2020. 4. 7.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개념 및 설명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개념 및 설명 네트워크 보안팀으로써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위치 장비는 cisco 장비를 많이 사용합니다. 우선적으로 스위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간단한 질의응답으로 차근차근 풀어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문나는 점에 대해서 꼬리 물기식으로 알아나가는 거죠. Q : Switch(스위치)가 뭐예요? A : 네트워크 장비 Q : Switching(스위칭) 이란? A : Data를 목적지 까지 전달하는 방법 Q : L2 Switch? A : L2 스위치는 허브에서 한 단계 진화한 것으로 :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워져있음. Q :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A : 허브는 한 번에 한 노드만이 통신 / 스위치 여러개의 노드에..

네트워크·보안
2020. 4. 6.
OSI 7 Layer : 물리계층 개념
[네트워크 기초] OSI 7 Layer : Layer 1 개념 네트워크 종사자 중 흔히들 몸쓰는 일을 할때 Layer 1 일한다고 합니다. Layer 1은 물리적인 일을 주로 합니다. 케이블을 만들거나, 케이블을 연결할때 바닥을 뜯고 천장에 올리고 합니다.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지만, 사람들이 등한시 하기도합니다. 물리계층이 없다면 네트워크도 존재할 수 없는데 말입니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함 : 네트워크상의 물리적인 연결과 유지 종료를 담당 Q : Layer 1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건? A : 사용목적에 따른 케이블 선택, 케이블 역할 정의, 사용목적에 따른 장비 선택, 장비 역할 정의 Q : Layer 1 장비는? A : 더미..

네트워크·보안
2020. 4. 5.
네트워크
Network. 어원은 그물을 뜻하는 net과 work의 합성어. 그물을 짜는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에서 임의의 연결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그 범위가 확장된 단어. Networking. 네트워킹 = 서로 통신(communication) Protocol. 서로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서로가 반드시 지켜야하는 것. 통신하는 목적. - 이메일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지원 - 컴퓨터 간의 파일 공유 - 인터넷을 통한 정보 공유

네트워크·보안
2020. 4. 3.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ping 명령어 : 네트워크 환경 장비들 간의 통신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IC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로컬 호스트와 외부와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테스트하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로 결과값 중 TTL 값으로 사용되는 운영체제도 알 수 있음 - # ping [option] 호스트 -c : ping 테스트 시 지정한 수만큼의 패킷을 보냄. 기본 무한 -s : ping 테스트 시 보내는 패킷의 바이트 수를 지정. 기본 56Byte -i : ping 테스트 시 몇 초 간격으로 패킷을 보낼지 설정. 기본 1초 -w : ping 테스트 시 패킷을 보내고 몇 초 후에 실행을 멈출것인지 설정 - # ping -c 4 -i 2 192.168.1.32 ->192.168.1.32 호스트를 4개의 패킷, 2초..

네트워크·보안
2020. 4. 3.
서버 속도 측정 항목
서버 속도 측정 항목 동시 사용자에 따른 평균 응답시간 예, 동시 사용자 100명이 웹 서비스를 요청했을 때, 모든 사용자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측정한 후, 이에 따른 평균값 동시 사용자에 따른 단위시간 당 처리건수 예, 동시 사용자 100명이 웹 서비스를 요청했을 때, 단위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응답을 완료한 건수 동시 사용자 부하 테스트를 수행 할 때 서버에 같은 시점에 접속하는 사용자들 서버의 동시 처리량 이해 터널과 차량을 비유하자면 터널에 집입하는 차 -> 요청 = 서버에 도달한 요청 터널을 빠져나가는 차 -> 응답 = 서버에서의 응답 터널에 대기하고 있는 차 -> 처리중인 작업 = 서버에서 처리 중인 작업 점진적으로 요청 건수가 늘어날 경우 동시 처리량이 늘어날 것이며, 서버가 처리할 수 ..